Joy of Vex [Day04]
chramp
chramp("파라미터의 이름", 변수나 어트리븃)
그래프의 x축은 input, 그래프는 f(input)
input에 대응되는 정보가 @P.y로 표현됨
➨y = x 그래프가 만들어지게됨
후디니 18버전까지는 input에 1 이상의 값이 들어가면, 인풋의 소수점을 활용. 예를 들어 2.7이면 0.7로 인식
19버전부터는 인풋의 0과 1사이값만을 클램핑해서 활용하는 식으로 바뀜!
1이상의 값부터는 1의 값으로 인식함
scale이 커지면높이가 높아지지 않으면서 콘의 형태가 좁아지게됨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P.y *= chf("height"); 을 해줘야함
*단면을 보기 위해 clip 노드 사용
@Time을 빼줘야 물결이 중앙에서 바깥으로 나가는 것처럼 보임 시간이 더해지면 물결이 중앙으로 모이는것처럼 보이게 됨,
float d = length(@P);
P.y = chramp("myramp",d);
에서 myramp 그래프가 y = x 라면
@P.y = clamp(d,0,1); 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준다.
영점을 기준으로 우측 부분이 y=x 그래프가 되는데 높이가 1이상이면 모두 1로 표현.
여기서 d = sin(d)가 된다면
값이 -가 되는 부분은 모두 0이 되면서
이런 형태가 된다.
d = fit(d,-1,1,0,1);을 해주면 범위가 -1부터 1이 아니라 0부터 1이 되면서 그래프가 우측처럼 바뀌게 된다.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서 사인그래프를 그려서 아래와 같이 fit 함수를 다시 적용해봤다.
다시 그리드에서
myramp의 그래프를 왼쪽과 같은 형태로 바꿔주면, 단면이 우측의 형태로 생겨난다.
그리드의 형태는 이렇다.
myramp의 그래프를 변형시켰을 떄, 형태가 어떻게 나오게 되는건지 직관적으로 와닿지는 않는다😭
저번 시간에 했던 것들도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하면서 블로그에 정리해뒀던 내용을 몇 번 다시 봤다.
계속 내용이 쌓이고 쌓이는 느낌이라 이번주말에는 한번 복습을 해봐야겠다..!